:TRICK-MAN:™ FOREVER, Since 2007  
Front Page
Tag | Location | Media | Guestbook | Admin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하는 글(151)
2017.02.22   Power Mockup 사용기#1
2016.11.17   Laying the Foundations for Phase Timing
2016.04.28   Greenfield, Brownfield ?
2016.02.03   Ubuntu에서 LG-NAS 하드디스크 마운트시키기
2015.05.28   Smallcells용 Grandmaster IGM 1100i 소개
2015.04.23   Introduction to SDN
2015.01.02   2015년 새해인사
2014.10.13   우분투에서 uboot용 mkimage 설치하기
2014.09.02   세계 최고의 인재들은 왜 기본에 집중할까
2014.06.16   What is Jitter ? (by youtube)


Power Mockup 사용기#1

Poewer Mockup 사용기

 

여러 사람으로부터 강력한 추천이 있어서 사용해 보기로 했다.

신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GUI 개발은 하지않지만 화면 설계서까지는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적당한 툴이 필요한 시점이었다.

먼저 필요한 것은 다운로드를 받아서 설치하는 것이다.

https://www.powermockup.com/download

에 이동해서 체험판을 먼저 다운받아서 설치한다.


 

그냥 다음만 누르면 설치는 금방될 것이다.


설치가 완료되고, “Run PowerMockup”를 클릭한다.

 


파워포인트에서 리본바에 “POWERMOCKUP” 그룹이 새로 생겨났다.

우측 하단에 있는 “Download More Shapes”를 눌러 몇가지 항목들을 추가했다.


새로만들기를 한 후에 화면 디자인을 하나 해 보았다.

메인화면은 스토리보드 세이프로 만들고 안의 컴포넌트들은 Power Mockup을 사용하였다.


출력물이 나름 괜찮은듯하다.ㅋㅋ

시험판이라 많은 기능을 사용할 순 없었지만, 다양한 종류의 세이프들이 있어서 개발자들에게 많이 유용하리라 생각이 든다.




Laying the Foundations for Phase Timing
Laying the Foundations for Phase Timing

Phase Timing을 위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ㅋㅋㅋ
 
 




Greenfield, Brownfield ?

In networking, a greenfield deployment is the installation and configuration of a network where none existed before, for example in a new office. A brownfield deployment, in contrast, is an upgrade or addition to an existing network and uses some legacy components. The terms come from the building industry, where undeveloped land (and especially unpolluted land) is described as greenfield and previously developed (often polluted and abandoned) land is described as brownfield.

Greenfield는 새로 구축하려고 하는 네트워크

Brownfield : 기존에 설치된 네트워크 

참조 : http://searchunifiedcommunications.techtarget.com/definition/greenfield-deployment




Ubuntu에서 LG-NAS 하드디스크 마운트시키기

Ubuntu에서 LG-NAS 하드디스크 마운트시키기


HDD를 리눅스 서버에 먼저 연결했다.

부팅 후 fdisk 명령으로 확인해 보니 해당 디스크가 GPT 라고 표시가 되어 있다.

물론 fdisk 명령으로는 GPT를 지원하지 못한다는 문구와 함께..ㅠㅠ


root@elf1:/mnt# fdisk -l


Disk /dev/sda: 500.1 GB, 500107862016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60801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identifier: 0x00045baa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a1   *           1       58336   468581376   83  Linux

/dev/sda2           58336       60802    19802113    5  Extended

/dev/sda5           58336       60802    19802112   82  Linux swap / Solaris


Disk /dev/sdb: 500.1 GB, 500107862016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60801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identifier: 0x858f35f5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b1               1       60801   488384001   83  Linux


WARNING: GPT (GUID Partition Table) detected on '/dev/sdc'! The util fdisk doesn't support GPT. Use GNU Parted.



Disk /dev/sdc: 1000.2 GB, 1000204886016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121601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identifier: 0x00000000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c1               1      121602   976762583+  ee  GPT

root@elf1:/mnt# 



그럼에도 불구하고 GPT를 마운트 하는 방법을 구글링해서 마운트를 시도해 보았다.

GPT는 NTFS 파일시스템으로 마운트하면 된다고 해서 아래처럼 마운트했다.



jskwak@elf1:~$ sudo blkid /dev/sdc1

[sudo] password for jskwak: 

/dev/sdc1: UUID="576fd8e9-c8ad-b1b5-bafa-a0fd3edaa250" TYPE="linux_raid_member" 


jskwak@elf1:~$ sudo mount -t ntfs-3g /dev/sdc1 /mnt

NTFS signature is missing.

Failed to mount '/dev/sdc1': Invalid argument

The device '/dev/sdc1' doesn't seem to have a valid NTFS.

Maybe the wrong device is used? Or the whole disk instead of a

partition (e.g. /dev/sda, not /dev/sda1)? Or the other way around?



그랬더니 위의 메시지 처럼 정상적인 NTFS가 아니라고 나오고 디바이스에 문제가 

있는 것처럼 보이다나....절망...

여기에서 좌절하지 않고 다시 구글링을 시도했다.

검색 : linux GPT mount NTFS signature is missing


어떤 사람의 대답이 "parted -l" 로 해보라는 것이다.

그래서 parted 명령으로 다시 확인했다.


root@elf1:~# parted -l

Model: ATA ST500NM0011 (scsi)

Disk /dev/sda: 500GB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B/512B

Partition Table: msdos


Number  Start   End    Size    Type      File system     Flags

 1      1049kB  480GB  480GB   primary   ext4            boot

 2      480GB   500GB  20.3GB  extended

 5      480GB   500GB  20.3GB  logical   linux-swap(v1)



Model: ATA HUA722050CLA330 (scsi)

Disk /dev/sdb: 500GB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B/512B

Partition Table: msdos


Number  Start   End    Size   Type     File system  Flags

 1      32.3kB  500GB  500GB  primary  ext4



Model: ATA Hitachi HDS72101 (scsi)

Disk /dev/sdc: 1000GB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B/512B

Partition Table: gpt


Number  Start   End     Size    File system     Name     Flags

 1      1000MB  24.0GB  23.0GB  ext3            system   raid

 2      24.0GB  32.0GB  8001MB  linux-swap(v1)  primary  raid

 3      32.0GB  1000GB  968GB   ext4            primary  raid



오호!!!

/dev/sdc는 3개의 파티션으로 나누어져 있는 것을 알았다...빙고...

물론 NTFS 파일시스템도 아니었다. 내가 원하는 데이터가 있는 영역인

/dev/sdc3는 ext4 파일시스템임을 알았다..

ext4 파일시스템으로 해당 파티션을 마운트하고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있는 것을 확인했다..ㅋㅋㅋ



root@elf1:~# mount -t ext4 /dev/sdc3 /mnt

root@elf1:~# cd /mnt

root@elf1:/mnt# ls -la

total 17392

drwxr-xr-x 14 root     root             4096 2015-11-20 21:09 .

drwxr-xr-x 25 root     root             4096 2015-03-16 17:21 ..

-rw-------  1 root     root             7168 2015-12-30 18:21 aquota.user

-rw-r--r--  1 root     root     429491220480 2015-12-30 14:21 backing_file

drwxrwxrwx  2 root     root             4096 2012-04-25 01:22 DRM

drwxrwxrwx  2 root     root             4096 2012-04-25 01:22 FamilyCast

drwxrwxrwx  5 root     root             4096 2013-11-20 15:08 Multimedia

drwxrwxrwx  2 root     root             4096 2031-01-11 13:58 MyDisc

drwxrwxrwx  3 couchdb  ssh              4096 2013-09-13 22:15 mysql

drwxrwxrwx  2 root     root             4096 2012-04-25 00:45 myweb

drwxrwxrwx  2 root     root             4096 2012-04-25 01:22 preload

drwxr-xr-x  6 root     root             4096 2031-01-11 13:58 service

drwxrwxrwx 10 root     root             4096 2015-04-06 11:41 Share

drwxr-xr-x  2 root     root             4096 2012-04-25 01:21 .sys

drwx------  2 www-data www-data         4096 2012-05-18 21:23 .webtmp

drwxrwxrwx  2 root     root             4096 2031-01-11 13:58 x-hdd




***[tip]***

이미 눈치 채신 분들도 있겠지만 LG-NAS의 OS 영역은 /dev/sdc1의 ext3파일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 mount -t ext3 /dev/sdc1 /nas

명령으로 해당 파티션을 마운트해서 /nas/etc/shadow 파일을 편집하면 

리모트에서 root 계정으로 들어갈 수 있다. ㅋㅋㅋ



Smallcells용 Grandmaster IGM 1100i 소개

Microsemi에서 smallcells용 grandmaster 솔루션인 IGM 1100i 제품을 출시했다.

LTE-Advanced features require tight frequency and phase timing to synchronise with other nearby cells and are far more demanding than 3G or even the initial LTE services. This is particularly difficult to achieve indoors where satellite GNSS signals are weak.


Often the deployment costs far exceed those of the equipment where external GPS antenna are used, such as negotiating rental of suitable roof space, cabling for external GPS antennas, installation and ongoing maintenance. Reliance on a single technology also raises availability concerns in case of outage.

This webinar reviews the importance of phase timing and how best that can be achieved for indoor small cells. Microsemi will also introduce an innovative solution that drastically reduces installation and deployment costs while achieving the high precision of frequency and phase synchronisation required.





Introduction to SDN
Introduction to SDN




2015년 새해인사

2015년 새아침이 밝았네요...

새해 인사 드립니다. 꾸벅..

나이가 들어가니까 건강이 최고예요...

아프니까 아무것도 못하고..ㅠㅠ





우분투에서 uboot용 mkimage 설치하기

리눅스 커널 컴파일 후에 uboot용 이미지를 만들때 mkimage가 필요한데

우분투에서는 컴파일하지 않고 간단한게 설치할 수 있다.

명령은 아래와 같다. 

$ sudo apt-get install uboot-mkimage

[sudo] password for user: 

Reading package lists... Done

Building dependency tree       

Reading state information... Done

The following packages were automatically installed and are no longer required:

  linux-headers-2.6.35-22 linux-headers-2.6.35-22-generic

Use 'apt-get autoremove' to remove them.

The following NEW packages will be installed:

  uboot-mkimage

0 upgraded, 1 newly installed, 0 to remove and 1 not upgraded.

Need to get 9,876B of archives.

After this operation, 57.3kB of additional disk space will be used.

WARNING: The following packages cannot be authenticated!

  uboot-mkimage

Install these packages without verification [y/N]? y

Get:1 http://old-releases.ubuntu.com/ubuntu/ maverick/main uboot-mkimage i386 0.4build1 [9,876B]

Fetched 9,876B in 1s (7,158B/s)  

Selecting previously deselected package uboot-mkimage.

(Reading database ... 175719 files and directories currently installed.)

Unpacking uboot-mkimage (from .../uboot-mkimage_0.4build1_i386.deb) ...

Setting up uboot-mkimage (0.4build1) ...


테스트

$ mkimage

Usage: mkimage -l image

          -l ==> list image header information

       mkimage [-x] -A arch -O os -T type -C comp -a addr -e ep -n name -d data_file[:data_file...] image

          -A ==> set architecture to 'arch'

          -O ==> set operating system to 'os'

          -T ==> set image type to 'type'

          -C ==> set compression type 'comp'

          -a ==> set load address to 'addr' (hex)

          -e ==> set entry point to 'ep' (hex)

          -n ==> set image name to 'name'

          -d ==> use image data from 'datafile'

          -x ==> set XIP (execute in place)










세계 최고의 인재들은 왜 기본에 집중할까

세계 최고의 인재들은 왜 기본에 집중할까

(The 48 principles of Success by The World's Leading Entrepreneurs)


도쓰카 다카마사 지음


<후기>

요즘들어 '기본'이라는 단어가 내 머릿속에 맴돈다. 기본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이것들을 간과하면서 지냈던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직장에서 기본의 중요성을 다시한 번 깨달았다. 무심코 지나쳐버린 기본적인

것들을 다시한 번 점검하고 아주 사소한 것들부터 이제는 챙겨야겠다.


아래는 책의 각 장별로 정리해 놓은 것들을 옮겨놓았다.


Chapter 1. 사람과의 관계에 투자한다

- 이해관계를 초월한 진정한 관계를 추구함다면 결과적으로 인간관계는 발전한다.

-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학생은 인맥을 쌓기 위해 다른 사람과 보내는 시간과

  비용을 절대 아까워하지 않는다.

- 처음 만난 상대방의 이름을 직접 불러 보며 자신의 입과 귀로 반드시 확인한다.

- "출신지는 어디입니까?"는 첫 만남의 어색함을 풀어주는 질문이다.

- 선배나 상사를 따르면 도움이 되는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 일주일에 한 번은 일과 전혀 관계과 없는 사람을 만난다.


Chapter 2. 자신의 내면과 외면을 가꾸는 일에 힘쓴다.

- 여유를 가지기 위해 평소 '애프터 유'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 책을 읽는 시간의 3배를 생각하는 시간을 갖고 각 장마다 차분히 생각한다.

- 참신한 아이디어를 내기 위해서는 아이디어를 받쳐 주는 논리력이 반드시

  뒤 따라야 한다.

- '생각한다'와 '조사한다'를 구분해서 시간을 사용한다.

- 'So What?(그래서 뭐)" "Why so?(그게 왜?)" 질문을 반복하면서 생각한다.

- 끊임없이 새로움에 도전하는 젊은 정신을 유지하기 위해 운동을 거르지 않는다.


Chapter 3. 시간을 지배하는 사람들의 업무술

- 아무리 바빠도 반드시 약속 시간을 지킨다.

- 일과 삶의 조화를 위해 노력하면 성장의 질이 달라진다.

- 집중력이 가장 높은 오전 업무 시간을 소중하게 활용한다.

- 다음 날 곧바로 업무를 시작할 수 있도록 퇴근 전에 자료를 정리정돈하고,

  할 일 리스트를 적는다.

- 월요일 아침에는 15분 일찍 일어나도록 알람시계를 맞춰 놓는다.

- 업무가 쌓여 있을 때는 우선순위가 높고 시간이 적게 걸리는 일부터 처리한다.


Chapter 4. 성과로 이어지는 케뮤니케이션 노하우

- 업무 지시는 반드시 메모로 남기고, 지시가 끝난 시점에서 확인한다.

- 새로운 일은 맡자마다 바로 5분 동안 시작하면서 계획을 세우고 의문점을 없앤다.

- 회신 속도가 곧 당신을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 상사가 언급하기 전에 먼저 보고하고 상사와 의견이 다를 때 가설을 넣으면 

  효과적이다.

- 바쁜 상사일수록 스케쥴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서 보고한다.

- 일을 맡으면 바로 시작하고 일부라도 좋으니 다음 날 아침에 반드시 보고한다.


Chapter 5. 이익을 극대화하는 자료로 회의에 기여한다

-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만들 때 시각적 자료가 없어도 전달하려는 메시지 설들력이

  있는지 철저하게 고민한다.

- 자료는 오프닝을 의식하면서 작성한다.

- '하나의 차트, 하나의 메시지'라는 기본원칙에 따라 자료를 만든다.

- 자료 작성을 마무리했다면 반드시 디테일을 점검한다.

- 회의에서는 서툰 의견이라도 반드시 발언해야 한다.

- 평소 노트를 정리하는 습관을 들이면 논점을 파악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표혀하는

  능력이 올라간다.


Chapter 6. 글로벌 커리어에 도전하라 

- 나라를 생각하는 마음은 강력한 동기부여가 된다.

- 비즈니스 영어에서는 유창함보다 논리성과 당당한 태도가 중요한다.

- 영어 공부를 위해 가장 이해하기 쉬운 목표를 정한다.

- 지금보다 한 단계 높은 직책을 목표로 잡고 일의 완성도와 책임감을 높인다.

- 회사를 퇴학이 아닌 졸업으로 마무리한다.

- 자기 노트로 자신의 목표를 관리해 나간다.





What is Jitter ? (by youtube)
Jitter란 무엇인가?

넓은 의미에서의 지터는 "시간에 이상적인 위치에 대하여 짧은 시간에 나타난 신호의 차이"입니다.
지터는 신호주기의 불안정성주파수위상듀티 사이클또는 다른 타이밍 특성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펄스와 펄스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펄스 또는 긴 시간 동안의 변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조:텔레다이르크로이코리아)

그리고 정보통신용어사전에는 이렇게 나와 있다.

PCM 전송방식에 있어서 전송된 펄스의 시간적 위치가 정규(正規) 시점에서 전후로 변동하는 것을 지터라고 한다. 지터에 의한 펄스열(列)은 위상변조를 받기 때문에 복조시에 지터 잡음으로 전송품질을 저하시킨다. 지터는 대별하면 중계 전송로에서 생기는 전송로 지터와 다중화 동기를 위한 펄스 스텁(stuff)동기를 적용한 경우에 생기는 스텁 지터로 나누어진다. 전송로 지터는 중계기에서의 랜덤(random) 잡음(열잡음, 외래 잡음)에 기인하는 랜덤 지터와 전송부호 패턴(pattern)변동, 타이밍 탱크(timing tank)의 부조화에 의하여 생기는 패턴 지터가 있다.

아래의 동영상을 보면서 지터를 좀 더 이해하자...




BLOG main image
jskwak[@]gmail.com 또는 ♬♬♬ jskwak[@]trickman.net, ▷◁▷◁ http://about.me/jskwak
 Notice
반/갑/습/니/다
곽/자/섭 입니다...
 Category
분류 전체보기 (151)
전송기술 (53)
이더넷 (3)
시스코자격증 (7)
임베디드 (4)
책읽기 (8)
주절주절 (70)
MAC OS X Life (1)
 TAGS
UPSR 구름 코드검색 대립해소도 CCNA FRT ip toc 모공 T-SDN 1588 Telecom Profile ITU-T OSX OTN 절체 SONET CISCO CCNP 구글 SDH 메모 아이팟 Linux BLSR CRT CDP
 Calendar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Recent Entries
 Recent Comments
 Archive
 Link Site
[01] 지원,지민 놀이터
 Visitor Statistics
Total :
Today :
Yesterday :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