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SR와 UPSR과의 차이점은?
BLSR(Bidirectional Line Switched Ring)과 UPSR(Unidirectional Path Switched Ring)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1. BLSR/2F와 UPSR의 공통접과 차이점
1) BLSR/2F과 UPSR의 공통점
¨ 동일한 망 topology(ring)를 가진다.
¨ 단일 장애경우 100%보호된다.
2) BLSR/2F과 UPSR의 차이점
¨ 보호방식에 차이가 있다. (UPSR : 경로절체, BLSR/2F : 선로절체)
¨ 보호되는 신호의 용량에 차이가 있다.
2. UPSR의 망보호
1) 양방향으로 동일한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측에서 양호한 신호를 수신하여 보호하는 방식이다.
2) 단방향 방식이며 경로 절체를 수행한다.
3) 두개의 경로를 유지하고, 수신측에서 이중 양호한 신호를 선택한다. 만약 선택된 경로에 장애가 발생되면, 수신측은 반대방향으로 수신되는 경로를 선택하여 신호를 유지한다.
4) A→D로 전달되는 주경로에 장애 발생 시, A→B→C→D로 전달되는 경로가 선호 전달 경로로 선택된다.
3. BLSR/2F의 망보호
1) 광 선로 채널용량의 절반을 보호 절체용으로 확보하고, 이를 장애 시 우회경로로 사용하여 보호하는 방식이다.
2) 양방향 방식이며, 선로 절체를 수행한다.
3) MSP(K1, K2 byte)를 사용하며 망동기를 수행한다.
4) 장애가 발생된 선로를 통과하는 신호는 장애와 인접한 노드에서 반대방향 선로의 보호 절체 채널로 삽입되어 전달되며, 또 다른 인접 노드에서 이를 다시 정상 채널로 삽입하여, 정상 경로를 유지한다.
5) A↔B↔C↔D로 전달되는 주경로에 장애발생 시, A↔B↔A↔D↔C↔D로 전달되는 경로가 선호 전달 경로로 선택된다. ↔부분은 보호 구간을 사용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6) 단일 장애의 경우, 신호 전달 경로를 구성하는 span의 수는 (m-1)+(n-1)이다.
m : 링을 구성하는 span의 수
n : 정상 상태에서의 신로 전달 경로를 구성하는 span의 수
4. BLSR/2F와 UPSR의 망 효율 비교
1) UPSR의 경우, 정상상태에서도 구조적으로 중복된 채널할당이 필요하나, BLSR/2F의 경우, 정상상태에서 중복된 채널할당이 필요없다. 따라서, 신호의 전달경로가 최단거리일 경우, 최대의 망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아래의 그림은 한 채널에 대해 BLSR/2F의 경우, 4개의 신호 경로를 UPSR의 경우, 1개의 신호 경로를 설정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2) UPSR의 경우, 항상 48개의 신호 구성이 가능하다. (AU3기준)
3) BLSR/2F의 경우, [24≤n≤24x노드 수]로 신호 구성이 가능하다. (AU3기준)
4) BLSR/2F의 경우, 신호의 지역성(경로의 인접도)이 높을수록, 망을 구성하는 노드의 수가 증가할수록, 망의 효율이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