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ICK-MAN:™ FOREVER, Since 2007  
Front Page
Tag | Location | Media | Guestbook | Admin   
 
"웃음"에 대한 신체적 과정과 효과
베르베르 베르나르의 "상상력 사전"에서...

웃음은 뇌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의해 촉발된다.
좌뇌는 감각이 받아들이는 괴상하거나 역설적인 정보를 소화하지 못한다.
(좌뇌는 계산하고 추론하는 논리적 기능을 담당한다)
허를 찔린 좌뇌는 즉시 고장 상태에 빠지며, 받아들인 이질적인 정보를 우뇌에 보낸다.
(우뇌는 직관적, 예술적 사고를 담당한다)
이 정체불명의 소포를 받게 된 우뇌는 순간적인 전류를 보내어 좌뇌의 활동을
정지시키는 한편, 그 사이에 자신은 이 정보에 대해 개인적이고도 예술적이 설명을 시도한다.
평소에는 항상 깨어 있는 좌뇌의 순간적인 활동 정지는 즉시 대뇌의 이완과 엔도르핀의
분비를 초래한다. 역설적인 정보가 좌뇌에게 거북하게 느껴질수록 우뇌는 더 강한 전류를
보내게 되고, 엔도르핀의 분비량은 더욱 많아진다.
동시에 이질적인 정보가 야기하는 긴장 상태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 메카니즘으로서,
몸의 각 부분이 전체의 긴장 완화에 참여한다.
허파는 공기를 체외로 세차게 배출하기 시작하는데, 이것이 웃음의 <신체적> 과정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이어 광대뼈 근육 및 흉곽과 복부의 단속적인 움직임으로 몸은 수축과 이완을 반복한다.
몸의 더 깊은 곳에서는 심장 근육과 내장이 경련을 일으킴으로써 일종의 체내 메시지를 발출하여
복부 전체의 긴장을 푼다. 이 이완이 심하면 때로는 괄약근까지 풀어지게 된다.
요약하자면, 우리의 정신은 역설적 혹은 이질적인 성격의 뜻밖의 정보를 소화할 수 없으므로
스스로의 활동을 정지시킨다. 즉 <고장>상태로 들어가는 것이다. 그런데 이 사고는 가장 기묘한
쾌락의 원천이 된다. 더 많이 웃을수록 우리의 건강으 더 좋아진다. 이 활동은 노화를 늦추고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준다. 

* 저작권은 지은이에게 있습니다. 


PC에서 Angry Birds를 해 봅시다..
따끈한 소식입니다. 스마트폰에서나 할 수 있었던 앵그리버드를 PC에서도 할 수 있습니다.
Google I/O 2011 개발자 컨퍼런스 두번째 날에 웹기반에 앵그리버드 버전을 발표했다고 하네요..
웹브라우저에서 그냥 http://chrome.angrybirds.com/를 입력하기만 하면 됩니다.
크롬 브라우저나 파이어폭스는 그냥 실행할 수 있었지만 IE에서는 플러그인을 설치하라고 나오네요...
그럼 즐겜하세요...

아래 스샷입니다.

 


바탕화면에 파리를 키우세요(?)/Fly on Desktop
봄이 되니까 무지 졸리네요...심심할 때 한 마리 키워보세요...
모니터에 손이 저절로 갑니다..실물하고 완전히 똑같네요...

이 작품(?)을 만드 회사는 여기입니다. http://www.drive-software.com/
Portable 버전이니까 다운받아서 그냥 실행하시면 됩니다. 오른쪽 버튼으로 한마리 또는 5마리씩
추가할 수 있습니다. 너무 많아지면 바탕화면이 조금 징그러운 면도 있습니다.


*** 물론 첨부파일의 저작권은 해당 소프트웨어 회사에게 있습니다.



MPLS-TP 표준화 현황(2011년 2월)
MPLS-TP(Multi-Protocol Label Switching-Transport Profile) ?
기존의 MPLS 아키텍처와 포워딩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송에 필요한 프로파일을 취하고
OAM 및 PROTECTION(절체)의 기능적 개선을 통한 전송 인프라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패킷서비스 기반에서 값싸며 운용측면에서 융통성이 있고 효율적인 전송망을 제공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2001년 2월 현재 ITU-T의 MPLS-TP 관련 표준화 작업 현황은 아래와 같다.


2011년 2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표준화 작업을 진행되었지만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한다.

참고로 ITU-T Study Group 15는 광전송 네트워크 및 액세트 네트웍 인프라를 연구하는 그룹으로서
관련 자료들은 아래의 주소에서 얻을 수 있다.
http://www.itu.int/ITU-T/studygroups/com15/index.asp


*** 본문중 일부내용에 대한 저작권은 tta.or.kr 에 있습니다.




캐리어이더넷 사용가능한 기술 정리

캐리어이더넷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기술들을 정리하였습니다.(물론 내가 한 건 아니고...)


MPLS-TP가 대세라고 하기는 하지만 사업자 입장에서는 기존 장비들과의 호환성에 더 무게를 두는 것 같습니다.
꼭 선도되는 기술이 대세라고만 할 수는 없는거죠...제조업체에 종속되어 있는 한 사람으로서 참으로 난감한 상황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것도 해야하고 저것도 해야하고...안 할수도 없고...

 


BLOG main image
jskwak[@]gmail.com 또는 ♬♬♬ jskwak[@]trickman.net, ▷◁▷◁ http://about.me/jskwak
 Notice
반/갑/습/니/다
곽/자/섭 입니다...
 Category
분류 전체보기 (151)
전송기술 (53)
이더넷 (3)
시스코자격증 (7)
임베디드 (4)
책읽기 (8)
주절주절 (70)
MAC OS X Life (1)
 TAGS
모공 아이팟 CCNP CRT SONET 구름 Linux 대립해소도 OTN OSX CCNA 메모 toc ITU-T 절체 T-SDN 코드검색 BLSR FRT ip 1588 Telecom Profile SDH CISCO 구글 UPSR CDP
 Calendar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Recent Entries
 Recent Comments
 Archive
 Link Site
[01] 지원,지민 놀이터
 Visitor Statistics
Total :
Today :
Yesterday :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