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PLS-TP(Multi-Protocol Label Switching-Transport Profile) ?
기존의 MPLS 아키텍처와 포워딩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송에 필요한 프로파일을 취하고
OAM 및 PROTECTION(절체)의 기능적 개선을 통한 전송 인프라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패킷서비스 기반에서 값싸며 운용측면에서 융통성이 있고 효율적인 전송망을 제공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2001년 2월 현재 ITU-T의 MPLS-TP 관련 표준화 작업 현황은 아래와 같다.
2011년 2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표준화 작업을 진행되었지만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한다.
참고로 ITU-T Study Group 15는 광전송 네트워크 및 액세트 네트웍 인프라를 연구하는 그룹으로서
관련 자료들은 아래의 주소에서 얻을 수 있다.
http://www.itu.int/ITU-T/studygroups/com15/index.asp
*** 본문중 일부내용에 대한 저작권은 tta.or.kr 에 있습니다.